본문 바로가기
술 연대기 주해

[술 연대기] 와인의 시작. 과실주의 탄생

by Two냥 2022. 12. 12.

고대 중국에서 사용한 술 항아리 유물
(고대 중국에서 사용한 술 항아리 유물)

 

"와인(Wine). 맥거번은 또한 중국에서 발견된 기원전 7000년경의 도자기 조각에서 포도의 잔유물일 가능성이 높은 흔적을 검출해내기도 했다."

 

1. 과일 발효주

과일은 술을 만들기 좋은 재료입니다. 과일은 과육에 수분과 당분이 들어있고 껍질에는 자연 효모가 묻었죠. 그래서 상처 난 껍질 사이로 효모가 들어가면 곧 발효가 일어납니다. 오래 보관하던 과일이 물러지고 상하면 술 냄새를 약하게 풍기는 것은 이런 발효 작용 때문입니다. 수분만 충분하면 조잡하지만 과일로 술을 만드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실제로 아프리카에선 원숭이나 코끼리가 물이 고인 웅덩이에 떨어진 나무 열매가 자연 발효하면서 저절로 생긴 > 과실주를 마시고 사고를 치는 일이 일어나곤 합니다.

 

그래서 자연 발효로 생겨난 과실주를 마시고 취한 원숭이를 보고 사람들도 호기심에 그 액체를 맛봤고, 기분이 좋아지는 걸 느끼면서 술을 만들기 시작했다는 전설 같은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처음엔 똑같이 구덩이에 과일을 넣어서 술을 만들었고, 나중엔 항아리에 넣어서 만들었다는 거죠. 원숭이가 나무 구멍에 보관해 둔 과일이 발효해서 만들어진 술을 인간들이 발견하고 마시면서 술맛을 알게 되었고, 직접 만들어서 마시기 시작했다는 조금 변형된 이야기도 있습니다.

2. 신화와 와인

고대인은 술을 신이 인간을 위해 만들어준 선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세계 각국의 신화에는 대부분 주신(酒神)이 등장하죠. 특히 피와 같이 붉은색을 띤 와인은 고대 서양 세계에서 신성하고 고귀한 술로 취급되었습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에서 맥주는 일상의 술이었지만, 와인은 지배 계층과 제사에서 허가된 술이었죠. 맥주의 신과 와인의 신이 따로 있는 신화도 있습니다. 우리에게 술의 신으로 잘 알려진 그리스 신화의 디오니소스(Dionysos), 로마 신화의 박쿠스(Bacchus), 수메르 신화의 게슈틴안나(Geshtinanna), 이집트 신화의 오시리스(Osiris) 등은 모두 와인을 만든 신입니다.

반응형

 

3. 동아시아의 포도주

동아시아에서도 오래전에 과실주를 만들었습니다. 동아시아에는 비티스 아무렌시스(Vitis Amurensis) 계열의 포도가 자생했고, 중국에서 발견된 50종 이상의 야생 포도는 전 세계 야생 포도 품종의 절반 가량을 차지합니다. 고대 중국인들은 이런 야생 포도로 포도주를 만들어서 마셨습니다.

 

고고학자들이 중국 허난성(河南省) 우양현(舞陽縣) 자후 마을의 유적지에서 발굴한 초기 신석기시대의 토기 조각에는 포도로 만든 술의 흔적이 발견되었습니다. 약 9천 년 전의 유물로 추정되는 토기에 뭍은 흔적을 분석한 결과 포도와 산사나무 열매, 꿀을 사용하여 만든 술이란 것이 밝혀졌죠. 포도를 바탕으로 시고 단맛이 나는 산사나무 열매와 꿀을 첨가해서 알코올 도수가 충분히 나오게  한 것 같습니다.

 

 

국내외 과학기술동향, 정책, 문화 등 과기계 이슈 정보 제공. 매주 금요일 뉴스레터 발송

국내외 과학기술동향, 정책, 문화 등 과기계 이슈 정보 제공. 매주 금요일 뉴스레터 발송

www.sciencetimes.co.kr

 

고대 중국에선 과실주를 많이 마신 것 같습니다. 상나라의 수도 중 하나였던 싱타이시(地级市)의 유적지에선 과실주를 양조했던 흔적이 남아있고, 주나라 시대의 주례(周禮)에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술이 묘사되어 있는데 그중 하나가 과일로 만든 술인 <락(酪)>입니다.

4. 과일 발효주 vs 곡물 발효주

인류가 곡물의 다당류 탄수화물을 발효하기 좋게 단당이나 이당으로 바꿔주는 당화(糖化)를 알게 되면서 인류의 술 문화는 곡물 발효주 쪽으로 기웁니다. 같은 양의 과일과 곡물을 발효하면 탄수화물 덩어리인 곡물에서 알코올이 더 많이 생겨나기 때문이죠. 동양에서는 수수와 쌀, 서양에서는 보리와 밀로 만든 술이 자리 잡았고, 와인이 본격적으로 만들어지려면 조지아 인들의 발견을 기다려야 했습니다.

 

※ 이 포스트는 Bar10The님이 쓴 <술 연대기>에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첨부한 글입니다. Bar10The님이 쓴 <술 연대기>를 읽어보고 싶은 분은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세요.

 

[술 연대기] 를 시작하며...

술 연대기는 지금까지 읽은 책들과 각 수입원에서 주신 브랜드의 자료와 주류박람회에서 받은 자료들을 연도별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지금도 계속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술 연대만 정리한

aligalsa.tistory.com

댓글